매출세금계산서, 매입세금계산서? 세금계산서 한 눈에 정리하기!

2023-02-02

Q. 세금계산서가 있어야 경비처리가 되나요?

네, 경비처리를 위한 매입비용은 반드시 법정증빙이 요구됩니다. 3대 법적증빙은 카드매출전표, 현금영수증 그리고 세금계산서입니다. 

세금계산서란, 누가 누구에세 무엇을 얼마에 공급하였는지 알려주는 법적증빙입니다. 신용카드 매출전표는 세금계산서와 효력이 동일하다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사업자간 거래는 카드결제를 하는 경우가 많지 않고, 현금거래 진행 시 상대적으로 거래내역을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세금계산서를 선호합니다. 그렇다면 세금계산서의 종류는 어떻게 될까요?

- 매출세금계산서 : 회사에서 매출이 발생한 경우 고객에게 발행하는 세금계산서
- 매입세금계산서 : 반대로 회사가 매입한 비용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행 받는 세금계산서

우리 회사의 입장에서 생각했을 때, 업무용 PC구매 110만원에 대한 세금계산서는 매입세금계산서를 발행 받은 것이고 솔루션 판매 220만원에 대한 세금계산서는 매출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것입니다. 즉, 동일한 세금계산서에 대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공급자 입장에서는 매출세금계산서, 공급받는 입장에서는 매입세금계산서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전자세금계산서 작성일자, 발급일자, 전송일자는 무엇인가요?

- 작성일자 : 부가가치세법상 재화나 용역의 공급시기로 '작성하는 날짜' 가 아닌 거래가 일어나 금액이 확정된 일자를 의미합니다.
작성일자는 공급시기(작성일자)인 다음 달 10일까지 발급처리를 해야하며, 그렇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되니 주의해야합니다.

- 발급일자 : 세금계산서를 발급한 날
발금일자는 발급하는 버튼을 눌러 처리가 된 날짜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의 발급일자는 전산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수기로 작성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 전송일자 : 국세청에 전송 및 신고를 한 날
전송일자는 보통 국세청에 전송 및 신고한 날을 의미하며 발급 당일 혹은 다음날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전산처리 되기 때문에 별도로 입력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비즈플레이에서는 세금계산서 관리를 더욱 간편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

Case 1. 종이계산서의 경비처리 방법
직접 받은 종이계산서를 입력하여 경비처리 할 수 있습니다.
전자계산서와 동일한 형태로 입력하여 경비처리를 할 수 있습니다. 여러 장인 경우 엑셀파일을 통한 일괄입력도 가능합니다.

1. 화면 상단 우측의 +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종이세금계산서 등록 팝업 상에서 계산서 정보를 입력합니다. (공급자, 공급받는자 정보, 금액 정보 등)
3. 저장 시 계산서 목록 상에 입력한 종이 계산서가 생성됩니다.
4. 전자계산서와 동일하게 계산서 선택 후 결의서 작성을 누르면 매입세금계산서 지출결의서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Case 2. 담당자 미지정 계산서를 찾는 방법
매입담당자가 지정되지 않은 계산서를 조회, 경비처리 할 수 있습니다.
발행이 확인된 계산서가 조회되지 않는다면, 관리자가 해당 계산서의 매입담당자를 지정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이런 미지정 상태의 계산서를 조회하여 경비처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1. 화면 상단 우측의 상세V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미지정 계산서 조회 조건을 '포함'으로 선택합니다.
3. 조회 된 계산서 선택 후 결의서 작성을 누르면 매입세금계산서 지출결의서를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세금계산서 관리가 간편해지는 비즈플레이 자세히 보기 >